-
우주로 나아가는 인공지능?NEWS 정리 2019. 10. 23. 22:16반응형
은하 합병 때 별 생성 두 배 증가 가설 AI로 확인 – Sciencetimes
두 개의 은하가 서로 합칠 때 성간매질(interstellar gas)에 충격을 가해 베이비붐을 맞은 것처럼 별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가설이 있다. 은하 합병 기간에 별 생성이 두 배로 급증한다는 것인데, 이 가설이 인공지능(AI) 분석을 통해 사실로 입증됐다. 네덜란드 우주연구소(SRON)에 따르면 이 연구소 왕링위(王凌宇)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AI 딥러닝 기법으로 은하 합병을 분석해 은하 합병이 별 생성을 폭발적으로 늘리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
www.sciencetimes.co.kr
<위 사이트를 참고했습니다>
은하의 크기를 알고 계십니까? 저희는 우리은하에 속해있습니다....
두 개의 은하가 서로 합칠 때 성간매질에 충격을 가해 별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가설이 있다고 합니다.
은하 합병 기간에 별 생성이 두 배로 급증한다는 것인데, 이 가설이 인공지능(AI) 분석을 통해 사실로 입증됐다.
네델란드에서 AI 딥러닝 기법을 사용해 은하 합병을 분석하고 은하 합병이 별 생성을 폭발적으로 늘리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학술지 ‘천문학과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 호에 밝혔졌습니다.
연구팀은 합병 중인 은하를 구분할 수 있게 학습이 가능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구축해 20만개가 넘는 은하의 기록적인 자료인 빅데이터를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단일 은하일 때와 비교해 합체된 은하에서 생성되는 별이 최대 두 배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천문학 분야에서 외계 생명체!! 조사나 자료 분석분야에 AI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엔 처음으로 AI를 도입해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연구한 교수가 이렇게 말 했습니다.
“AI가 우리 분야에서 점점 더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기념비적인 것”이라면서 “그러나 우리가 은하 합병을 잘못 정의하면 AI가 제대로 일을 수행할 수 없는 등 AI를 어떻게 가르치느냐에 따라 성과가 제한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으로의 ai가 무궁무진한 발전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이번 기사를 통해 알게 되었고, 반드시 해야할 교육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반응형'NEWS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계, 2020년 A.I 전쟁!? (0) 2020.01.15 인공지능(AI) 선생님에게 배우는 외국어?! (0) 2019.09.18 오라클에서 클라우드 '40 GB'를 무료제공?! (0) 2019.09.17 AI 신의 영역까지 침범?! (0) 2019.09.08 AI가 판매/영업을?! (0) 2019.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