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익~
-
-
.attr()JavaScript 2022.11.23 20:53
.attr()은 요소의 속성의 값을 가져오거나 속성을 추가한다. .attr(속성 이름) 추가할경우 라고 한다면 $('tr').attr('class')로 한다면 tr태그(요소)에서 class 속성의 값을 가져옴 속성값을 가져오는 것이므로 test값을 가져올 것이다. 그럼 이것을 변수에 담아서 값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면 될 것 같다. 추가할 경우는 .attr(속성의 이름, 넣을 값) 일경우 $('tr').attr('class', 'test'); 로 한다면 에서 class의 속성값이 test로 들어가는것이 되는 거다. 요소(태그)를 없앨경우 remove를 사용한다. .remove([선택자]) $('tr').remove('.test'); 전체가 날라갈것이다. 그렇다면 속성을 없애고 싶다면 .removeAt..
-
인스턴스와 힙 메모리자바 2022.08.29 17:05
우선 앞전에 스텍은 함수, 메서드가 실행되면 스텍영역에 생성되었다 완료되면 사라지는걸 했었다. 이번에는 힙 영역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가장 많이 보게되는 new 예약어로 클래스를 생성한다. 이 때 클래스가 생선된다는 의미는 클래스를 사용할수있게 힙 메모리 영역에 할당받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렇게 생성된 클래스를 '인스턴스'라고 부른다. 그리고 test test1 = new test() ; 에서 test1은 생성된 클래스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이 때 '참조 변수'라고 부른다. 자 그럼 인스턴스와 힙 메모리에 대해 보면. new test()를 선언하면 test 하나가 생성되고, 그 안에 멤버변수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이 값들(변수)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메모리가 힙메모리다..
-
함수 호출과 스택 메모리자바 2022.08.29 13:49
함수가 수행 되면 메모리에 저장된다. 간단하게 알아보고 넘어가자... 우선 add() 함수가 있다고 쳐보자 public static add(int a, int b){ int sum = a + b; return sum; } 대충 이런 함수가 있다고 치고,,, 얘들 호출할 경우 add()에 해당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된다!! (C언어랑 비슷한듯) 이 메모리 공간을 스택(stack)이라고 함. 어차피 자바는 main함수에서 시작함으로 스택영역 첫 공간에는 main()함수가 쌓이고 add()호출하면 메모리 공간이 생성된다! 그럼 add()가 모두 실행 되고 나서는 스택영역에서 사라진다. 이렇게 호출한 순서대로 메모리 공간이 만들어지고~ 맨 마지막에 호출된'add()'부터 반환된다. 이걸 LIFO (Last In..
-
Uncaught DOMException : Blocked a frame with origin "도메인" from accessing a cross-origin frame [오류 해결]기타 2022.08.26 17:10
실무에서 일처리하다 막히는 경우 에러를 조회해 봤더니 제목과 같은 문거였다. a도메인과 b도메인간의 접근이 브라우저 정책위반시 나타나는 문구이다. 그럼 어떠한 경우에 나타나냐 - 도메인, 프로토콜이 다른 경우 발생. - 팝업창이나 페이지내 iframe을 사용할 때 서로 도메인or프로토콜이 다른 경우 발생. 필자는 iframe의 형식으로 생성된 페이지에서 발생하였다. 해결방법은 1. 팝업창과 도메인의 일치 : 이것을 사용하려 했지만 실무에서 도메인을 바꾸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다, 담당 업무자측에서 해결을 해야할 경우나, 서로 협력해서 해결해야 하므로 패스. 2. window.postMassage()로 우회시켜 통신 이러한 상황이라고 보자..서로 통신이 안되면 서로 동작을 처리할 수 없다. 이렇게 문법을..